2021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1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는 2021년에 열린 KBO 리그의 신인 선수 지명 행사이다. 1차 지명은 8월 24일에, 2차 지명은 9월 21일에 진행되었으며, 2017년부터 사용된 Z자 지명 방식을 모든 라운드에 적용했다. 1차 지명에서는 각 구단이 연고 지역 또는 전국 단위에서 선수를 지명했으며, 2차 지명에서는 전년도 성적의 역순으로 지명 순서가 정해졌다. 키움 히어로즈의 장재영, 롯데 자이언츠의 김진욱 등이 주목받았으며, 학교폭력 논란으로 NC 다이노스가 김유성에 대한 지명을 철회하는 등의 에피소드가 있었다.
2017년부터 모든 라운드에서 전년도 순위의 역순으로 선수를 지명하는 Z자 지명방식이 사용된다.[1] 1차 지명에서는 동일 학교 내에서의 1차 지명이 금지된다. 다만 전국권 드래프트는 예외이다. 작년 시즌 10-9-8위 팀은 연고지 내 선수가 없을 경우 전국의 학교에서 지명할 수 있다.
2021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는 1차 지명과 2차 지명으로 나뉘어 실시되었다.
2. 지명 방식
2. 1. 2차 지명 순서
2007년부터 2016년까지는 홀수 라운드는 전년도 순위의 역순, 짝수 라운드는 전년도 순위대로 지명하는 ㄹ자 지명방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2017년부터는 홀수, 짝수 라운드 상관없이 모든 라운드에서 전년도 순위의 역순으로 선수를 지명하는 Z자 지명방식이 사용된다.[1]
'''모든 라운드''' : 롯데 → 한화 → 삼성 → KIA → kt → NC → LG → SK → 키움 → 두산
3. 지명 결과
1차 지명은 2020년 8월 24일에 진행되었다. 키움, 두산, LG는 서울 공동 연고권을 가지고 순서대로 지명하였다.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 롯데 자이언츠는 지난 시즌 8~10위 팀으로, 연고 지역 선수를 지명하거나 8월 31일까지 전년도 성적 역순으로 연고지 밖의 타 지역 유망주를 지명할 수 있었다.
2차 지명은 전년도 순위의 역순으로 선수를 지명하는 Z자 지명 방식이 적용되었다.[3]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지명 시기는 2020년 9월 21일로 늦춰졌다.
3. 1. 1차 지명
2021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의 1차 지명은 8월 24일에 실시되었다. 서울 공동 연고권을 가진 키움, 두산, LG는 순서대로 지명하였다. 지난 시즌 8~10위 팀인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 롯데 자이언츠는 연고 지역 선수를 지명하거나, 8월 31일까지 전년도 성적 역순으로 연고지 밖의 타 지역 유망주를 지명할 수 있었다.
| 구단 | 출신교 | 포지션 | 성명 | 계약금 |
|---|---|---|---|---|
| 두산 베어스 | 서울고등학교 | 내야수 | 안재석 | 2억원 |
| 키움 히어로즈 | 덕수고등학교 | 투수 | 장재영 | 9억원 |
| SK 와이번스 | 제물포고등학교 | 투수 | 김건우 | 2억원 |
| LG 트윈스 | 충암고등학교 | 투수 | 강효종 | 2억원 |
| NC 다이노스[2] | ||||
| kt 위즈 | 장안고등학교 | 투수 | 신범준 | 1.7억원 |
| KIA 타이거즈 | 광주제일고등학교 | 투수 | 이의리 | 3억원 |
| 삼성 라이온즈 | 대구상원고등학교 | 투수 | 이승현 | 3.5억원 |
| 한화 이글스 | 부산고등학교 | 내야수 | 정민규 | 1.5억원 |
| 롯데 자이언츠 | 장안고등학교 | 포수 | 손성빈 | 1.5억원 |
3. 2. 2차 지명
2021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는 전년도 순위의 역순으로 선수를 지명하는 Z자 지명 방식이 적용되었다.[3]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지명 시기가 9월 21일로 늦춰졌다.| 라운드 | 롯데 | 한화 | 삼성 | KIA | kt | NC | LG | SK | 키움 | 두산 |
|---|---|---|---|---|---|---|---|---|---|---|
| 1 | 김진욱(강릉고, 투수) 3.7억원 | 김기중(유신고, 투수) 1.5억원 | 이재희(대전고, 투수) 1.5억원 | 박건우(고려대, 투수) 1.3억원 | 권동진(원광대, 내야수) 1.5억원 | 김주원(유신고, 내야수) 1.5억원 | 이영빈(세광고, 내야수) 1.3억원 | 조형우(광주일고, 포수) 1.3억원 | 김휘집(신일고, 내야수) 1억원 | 김동주(선린인고, 투수) 1.2억원 |
| 2 | 나승엽(덕수고, 내야수) 5억원 | 송호정(서울고, 내야수) 1억원 | 홍무원(경기고, 투수) 1억원 | 장민기(용마고, 투수) 1억원 | 한차현(성균관대, 투수) 1억원 | 이용준(서울디자인고, 투수) 1억원 | 김진수(중앙대, 투수) 1억원 | 고명준(세광고, 내야수) 9000만원 | 김준형(성남고, 투수) 8000만원 | 최승용(소래고, 투수) 8000만원 |
| 3 | 김창훈(경남고, 투수) 8000만원 | 조은(대전고, 투수) 8000만원 | 오현석(안산공고, 내야수) 8000만원 | 이승재(강릉영동대, 투수) 8000만원 | 유준규(군산상고, 내야수) 8000만원 | 오장한(장안고, 외야수) 8000만원 | 조건희(서울고, 투수) 7000만원 | 조병현(세광고, 투수) 7000만원 | 김성진(계명대, 투수) 7000만원 | 강현구(인천고, 외야수) 7000만원 |
| 4 | 송재영(라온고, 투수) 6000만원 | 장규현(인천고, 포수) 7000만원 | 주한울(배명고, 외야수) 7000만원 | 권혁경(신일고, 포수) 7000만원 | 지명성(신일고, 투수) 7000만원 | 한재승(인천고, 투수) 7000만원 | 이믿음(강릉영동대, 투수) 7000만원 | 장지훈(동의대, 투수) 6000만원 | 이주형(야탑고, 외야수) 6000만원 | 김도윤(청주고, 투수) 6000만원 |
| 5 | 우강훈(야탑고, 투수) 4000만원 | 배동현(한일장신대, 투수) 6000만원 | 김동진(전 강릉영동대, 내야수) 6000만원 | 이영재(유신고, 외야수) 6000만원 | 김영현(동성고, 투수) 6000만원 | 오태양(청원고, 내야수) 6000만원 | 김형욱(부산고, 내야수) 6000만원 | 박정빈(경기고, 외야수) 5000만원 | 김시앙(광주동성고, 포수) 5000만원 | 임태윤(경동고, 내야수) 5000만원 |
| 6 | 정우준(강릉영동대, 투수) 5000만원 | 조현진(마산고, 내야수) 5000만원 | 홍승원(성남고, 투수) 5000만원 | 김원경(비봉고, 내야수) 5000만원 | 최성민(동성고, 외야수) 5000만원 | 김준상(성남고, 내야수) 5000만원 | 김지용(라온고, 투수) 4000만원 | 박형준(대구고, 외야수) 4000만원 | 김현우(개성고, 외야수) 5000만원 | 이상연(부산고, 투수) 4000만원 |
| 7 | 이병준(개성고, 투수) 3000만원 | 이준기(경기상고, 투수) 4000만원 | 김세민(청담고, 포수) 4000만원 | 장시현(충암고, 내야수) 4000만원 | 윤세훈(야탑고, 투수) 4000만원 | 조성현(인천고, 투수) 4000만원 | 김유민(덕수고, 투수) 4000만원 | 조요한(동강대, 투수) 4000만원 | 양경식(제물포고, 내야수) 4000만원 | 강원진(백송고, 투수) 4000만원 |
| 8 | 최우인(서울고, 투수) 3000만원 | 김규연(공주고, 투수) 4000만원 | 이창용(강릉영동대, 내야수) 4000만원 | 이준범(동성고, 내야수) 3000만원 | 김건형(美보이시주립대, 외야수) 4000만원 | 김정호(성균관대, 포수) 4000만원 | 김대현(성지고, 투수) 3000만원 | 장우준(개성고, 투수) 3000만원 | 정연제(한일장신대, 투수) | 박성재(부산고, 포수) 3000만원 |
| 9 | 김정주(제물포고, 투수) 3000만원 | 안진(경기상고, 포수) 3000만원 | 김현준(개성고, 외야수) 3000만원 | 김선우(강릉고, 포수) 3000만원 | 정주원(영남대, 투수) 3000만원 | 김재중(서울고, 외야수) 3000만원 | 송승기(야탑고, 투수) 3000만원 | 박제범(인상고, 포수) 3000만원 | 이재홍(고려대, 내야수) 3000만원 | 김주완(동강대, 투수) 3000만원 |
| 10 | 권동현(부경고, 투수) 2000만원 | 문승진(서울고, 투수) 3000만원 | 이기용(용마고, 투수) 3000만원 | 박대명(동성고, 투수) 3000만원 | 김민서(율곡고, 내야수) 3000만원 | 김진우(군산상업고, 투수) 3000만원 | 박민호(경남대, 포수) 3000만원 | 권혁찬(홍익대, 내야수) 2000만원 | 양현진(영문고, 외야수) 3000만원 | |
4. 주목할 만한 선수
- 키움 히어로즈의 전 감독인 장정석의 아들 장재영이 드래프트에 나오게 되었다. 1학년 때부터 에이스로 활약했으며, 2학년 때는 청소년 대표팀에도 선발되었다. 아버지 장정석 전 감독이 준우승을 하고도 재계약이 불발되면서 미국으로 간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국내 잔류를 확정하면서 키움행이 확정되었다.[1]
- 강릉고등학교의 김진욱은 중학교 전학 이력으로 인해 1차 지명에서 제외되었는데, 사실상 2차 지명 전체 1순위로 롯데 자이언츠행이 확정적이라고 보고 있다. 이미 팬들 사이에서는 롯진욱으로 불리고 있다.[3]
- 이번 1차 지명에서는 광주제일고등학교의 이의리, 대구상원고등학교의 이승현, 제물포고등학교의 김건우 등 좌완 선수들이 대거 지명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었다.[2]
- 덕수고의 나승엽은 2라운드에서 롯데 자이언츠의 지명을 받았고 결국, 계약에 성공했다.
5. 에피소드
- 키움 히어로즈의 전 감독인 장정석의 아들 장재영이 드래프트에 참가했다. 1학년 때부터 에이스로 활약했고, 2학년 때는 청소년 대표팀에도 선발되었다. 아버지 장정석 전 감독이 준우승 후 재계약에 실패하면서 미국 진출 소문이 있었으나, 최종적으로 국내에 잔류하여 키움 히어로즈에 지명되었다.[1]
- 이번 1차 지명에서는 광주제일고등학교의 이의리, 대구상원고등학교의 이승현, 제물포고등학교의 김건우 등 좌완 투수 유망주들이 대거 지명될 것으로 예상되었다.[2]
- 장재영과 전국 랭킹 1위를 다투던 강릉고등학교의 김진욱은 중학교 전학 이력으로 1차 지명에서 제외되었는데, 사실상 2차 지명 전체 1순위로 롯데 자이언츠행이 유력했다. 롯데 팬들은 김진욱을 '롯진욱'이라고 불렀다.[3]
- NC 다이노스는 1차 지명에서 김해고등학교 김유성을 지명했으나, 중학교 시절 학교폭력 문제로 지명을 철회했다.
- 장안고등학교는 연고지 1차 지명과 전국 단위 1차 지명으로 2명의 1차 지명 선수를 배출했다.
- 신인 드래프트 최대어였던 김진욱은 예상대로 전체 1순위로 롯데 자이언츠에 지명되었다.
- 두산 베어스의 1라운드 지명을 받은 김동주는 전 두산 베어스 선수였던 김동주와 동명이인이다. 공교롭게도 같은 팀이다.
- LG 트윈스의 6라운드 지명을 받은 김지용과 8라운드 지명을 받은 김대현은 같은 팀에 동명이인이 있다.
- LG 트윈스의 10라운드 지명을 받은 박민호는 현재 SK 와이번스의 투수인 박민호와 동명이인이다.
- 키움 히어로즈의 9라운드 지명을 받은 이재홍은 4년 전에도 키움 히어로즈에 10라운드 지명을 받았었다.
- 전 KIA 타이거즈 감독이었던 김기태의 아들 김건형은 8라운드에 KT 위즈에 지명되었다.
- 서울고등학교가 7명으로 가장 많은 지명자를 배출했고, 광주동성고등학교가 6명으로 뒤를 이었다. 인천고등학교, 세광고등학교는 5명이 지명되었다.
6. 출신 학교 별 정리
2021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에 참여한 선수들의 출신 학교별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서울, 인천, 경기, 충청, 강원, 대구·경북, 부산·경남, 전북, 광주·전남 지역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 기타 ===
- 김건형 (보이시 주립대-KT, 8라운드)
6. 1. 서울
| 학교 | 선수 | 지명팀 | 라운드 |
|---|---|---|---|
| 덕수고등학교 | 장재영 | 키움 | 1차지명 |
| 덕수고등학교 | 박건우 | KIA | 1라운드 |
| 덕수고등학교 | 나승엽 | 롯데 | 2라운드 |
| 덕수고등학교 | 김유민 | LG | 7라운드 |
| 서울고등학교 | 안재석 | 두산 | 1차지명 |
| 서울고등학교 | 송호정 | 한화 | 2라운드 |
| 서울고등학교 | 조건희 | LG | 3라운드 |
| 서울고등학교 | 정우준 | 롯데 | 6라운드 |
| 서울고등학교 | 최우인 | 롯데 | 8라운드 |
| 서울고등학교 | 김재중 | NC | 9라운드 |
| 서울고등학교 | 문승진 | 한화 | 10라운드 |
| 충암고등학교 | 강효종 | LG | 1차지명 |
| 충암고등학교 | 장시현 | KIA | 7라운드 |
| 신일고등학교 | 김휘집 | 키움 | 1라운드 |
| 신일고등학교 | 권혁경 | KIA | 4라운드 |
| 신일고등학교 | 지명성 | KT | 4라운드 |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김동주 | 두산 | 1라운드 |
| 경기고등학교 | 홍무원 | 삼성 | 2라운드 |
| 경기고등학교 | 배동현 | 한화 | 5라운드 |
| 경기고등학교 | 박정빈 | SK | 5라운드 |
| 서울디자인고등학교 | 이용준 | NC | 2라운드 |
| 성남고등학교 | 김준형 | 키움 | 2라운드 |
| 성남고등학교 | 홍승원 | 삼성 | 6라운드 |
| 성남고등학교 | 김준상 | NC | 6라운드 |
| 휘문고등학교 | 이승재 | KIA | 3라운드 |
| 배명고등학교 | 주한울 | 삼성 | 4라운드 |
| 청원고등학교 | 오태양 | NC | 5라운드 |
| 경동고등학교 | 임태윤 | 두산 | 5라운드 |
| 경동고등학교 | 정주원 | KT | 9라운드 |
| 경기상업고등학교 | 이준기 | 한화 | 7라운드 |
| 경기상업고등학교 | 안진 | 한화 | 9라운드 |
| 성지고등학교 | 김대현 | LG | 8라운드 |
| 배재고등학교 | 장민호 | 키움 | 10라운드 |
6. 2. 인천
| 학교 | 선수 | 구단 | 라운드 |
|---|---|---|---|
| 제물포고등학교 | 김건우 | SK | 1차지명[1] |
| 제물포고등학교 | 양경식 | 키움 | 7라운드[1] |
| 제물포고등학교 | 김정주 | 롯데 | 9라운드[1] |
| 인천고등학교 | 강현구 | 두산 | 3라운드[1] |
| 인천고등학교 | 장규현 | 한화 | 4라운드[1] |
| 인천고등학교 | 한재승 | NC | 4라운드[1] |
| 인천고등학교 | 조성현 | NC | 7라운드[1] |
| 인천고등학교 | 권혁찬 | 홍익대-SK | 10라운드[1] |
6. 3. 경기
2021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의 '경기' 섹션은 작성할 내용이 없다. 주어진 자료는 선수들의 출신 고등학교와 지명 정보를 나열한 것이며, '경기'와 관련된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6. 4. 충청
| 학교 | 선수 | 포지션 | 지명 구단 | 라운드 |
|---|---|---|---|---|
| 대전고등학교 | 이재희 | 투수 | 삼성 | 1라운드 |
| 대전고등학교 | 조은 | 투수 | 한화 | 3라운드 |
| 세광고등학교 | 권동진 | 투수 | 원광대-KT | 1라운드 |
| 세광고등학교 | 이영빈 | 내야수 | LG | 1라운드 |
| 세광고등학교 | 고명준 | 내야수 | SK | 2라운드 |
| 세광고등학교 | 조병현 | 투수 | SK | 3라운드 |
| 세광고등학교 | 정연제 | 투수 | 한일장신대-키움 | 8라운드 |
| 청주고등학교 | 김도윤 | 내야수 | 두산 | 4라운드 |
| 공주고등학교 | 김규연 | 투수 | 한화 | 8라운드 |
6. 5. 강원
6. 6. 대구,경북
| 학교명 | 선수명(포지션) | 지명팀, 지명 순위 |
|---|---|---|
| 대구상원고등학교 | 이승현 | 삼성, 1차지명 |
| 대구상원고등학교 | 박민호 | LG, 10라운드 |
| 포항제철고등학교 | 한차현 | KT, 2라운드 |
| 포항제철고등학교 | 김정호 | NC, 8라운드 |
| 대구고등학교 | 박형준 | SK, 6라운드 |
| 영문고등학교 | 양현진 | 두산, 10라운드 |
6. 7. 부산,경남
| 학교명 | 선수 | 구단 | 비고 |
|---|---|---|---|
| 부산고등학교 | 정민규 | 한화 | 1차지명 |
| 부산고등학교 | 김형욱 | LG | 5라운드 |
| 부산고등학교 | 이상연 | 두산 | 6라운드 |
| 부산고등학교 | 박성재 | 두산 | 8라운드 |
| 마산용마고 | 장민기 | KIA | 1라운드 |
| 마산용마고 | 이기용 | 삼성 | 10라운드 |
| 경남고등학교 | 김창훈 | 롯데 | 3라운드 |
| 부산정보고 | 김성진 | 계명대-키움 | 3라운드 |
| 김해고 | 장지훈 | 동의대-SK | 4라운드 |
| 마산고 | 조현진 | 한화 | 6라운드 |
| 개성고 | 김현우 | 키움 | 6라운드 |
| 개성고 | 이병준 | 롯데 | 7라운드 |
| 개성고 | 장우준 | SK | 8라운드 |
| 개성고 | 김현준 | 삼성 | 9라운드 |
| 부경고 | 권동현 | 롯데 | 10라운드 |
6. 8. 전북
6. 9. 광주,전남
| 학교 | 선수 | 포지션 | 지명팀 | 라운드 |
|---|---|---|---|---|
| 광주제일고등학교 | 이의리 | 투수 | KIA | 1차 |
| 광주제일고등학교 | 조형우 | 포수 | SK | 1 |
| 광주제일고등학교 | 조요한 | 투수 | 동강대-SK | 7 |
| 광주동성고등학교 | 김영현 | 투수 | KT | 5 |
| 광주동성고등학교 | 김시앙 | 내야수 | 키움 | 5 |
| 광주동성고등학교 | 최성민 | 투수 | KT | 6 |
| 광주동성고등학교 | 이준범 | 투수 | KIA | 8 |
| 광주동성고등학교 | 이재홍 | 포수 | 고려대-키움 | 9 |
| 광주동성고등학교 | 박대명 | 투수 | KIA | 10 |
6. 10. 기타
- 김건형(보이시 주립대-KT, 8라운드)
참조
[1]
뉴스
KBO, 신인2차지명 지그재그 방식 없어진다
http://sports.mk.co.[...]
[2]
문서
김유성 (2002년)
[3]
문서
동국대학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